top of page
작성자 사진메디컬포커스

나이 들수록 ‘뇌출혈’ 발생 빈도 증가

인구 10만명당 발생 빈도 30대에 비해 70대 이상이 34.4배 높아


나이가 들어갈수록 뇌출혈이 발생할 가능성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번 발생하면 후유증을 남기는 뇌출혈의 특성상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뇌출혈의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 뇌출혈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 이상의 연령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약 8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78.4%를 차지했고, 여성의 경우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86.4%를 차지했다.


뇌출혈 진료비는 2010년 3,800억 9000만원에서 연평균 5.8% 증가해 2014년 4,753억 9000만원이 지출됐다. 뇌출혈 진료비를 진료 형태별로 살펴보면 2014년 기준으로 입원 진료비가 전체 진료비의 90.2%를 차지했고 약국(6.5%), 외래(3.4%)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뇌출혈은 뇌실 또는 뇌실질 안에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하며, 원인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일어난다.


일반적인 고혈압성 뇌출혈은 의식저하, 마비 또는 언어장애등으로 나타나며,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출혈인 경우는 극심한 두통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 여러 원인들에 의한 뇌출혈은 두통, 간질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나이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주로 나이든 분에서 나타나는 뇌출혈은 고혈압, 뇌동맥류, 종양, 약물 등에 의한 경우가 많고, 비교적 젊은 사람들은 뇌동맥류, 혈관기형, 종양 등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뇌출혈은 한번 발생하면 많은 경우에서 후유증을 남기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이에 원인이 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평소 고혈압, 당뇨 등이 있었다면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운동으로 조절을 함은 물론 과도한 음주 등을 삼가고, 금연을 실천하면 많은 부분에서 예방이 가능하다.


자발성 뇌출혈(고혈압성 뇌출혈)은 평소 혈압조절이 매우 중요한 예방책이며, 그 외에 질환(종양, 뇌동맥류, 혈관기형 등)은 전조증상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몸에 이상신호가 있을 때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0개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