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미래부의 천연물신약 정책은 실패했다"

작성자 사진: 메디컬포커스메디컬포커스

전의총 "무의미한 천연물 소재 산업 정책은 재고해야"


전국의사총연합(이하 전의총)은 정부의 무의미한 천연물 소재 산업 발전 정책을 즉각 재고하고, 실효성 있는 신소재 및 신약 개발 정책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최근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재발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천연물 소재의 가치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천연물 산업발전 플랫폼 구축’ 전략을 준비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주요 천연물 산업에 의약품이 포함되면서 천연물신약도 한 분야임을 분명히 했다.


전국의사총연합(이하 전의총)은 이에 대해 최근 천연물신약 등에서 밝혀진 많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천연물신약의 시장 퇴출을 앞장서고 있는 단체로서 전혀 창조적이지 못한 정책에 우려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전의총은 최근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되었듯이 천연물신약이 약물의 안전성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 받고, 국제적인 신약 표준에도 맞추지 못하는 수모를 당하면서 천연물신약 정책의 실패가 확인된 상황에서 이러한 정책이 나온 것이라 더욱 이해할 수가 없다는 입장이다.

2001년부터 정부는 천연물신약 개발 정책을 시행하여 현재까지 수천억 원에 달하는 혈세를 제약회사에 지원했지만, 이렇게 개발된 천연물신약들은 신약으로 인정받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들도 생략됐고, 벤조피렌이나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발암물질도 다량 검출되어 안전성에서도 문제가 지적된 상황이다.

결국 수출은 고작 1억원 수준에 그쳤고, 내수용약으로 전락해 국내 제약사 배 불리기에만 이용되어, 식약처도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최근 ‘한약(생약)제제 허가고시’에서 ‘천연물신약’을 삭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전의총은 "지금도 획기적이고 효과적인 신약들로 전세계 제약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신약들은 대부분 천연물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들어낸 것들이 아니라 기존의 검증된 성분들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만들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약학대학을 나온 우수한 인재들이 문전 약국 개원에만 몰리고, 정부의 지원과 복제약가 정책으로 수익을 얻은 제약사들이 복제약 판촉에만 돈을 쓰는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1조가 아니라 1000조를 쏟아 부어도 제대로 된 신약이 개발될 수 없다"고 말했다.


전의총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창조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육성하고자 한다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각 분야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들을 과감히 개혁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전의총은 정부가 지난 14년간의 천연물신약 정책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이제는 더 이상 천연물이라는 실체 없는 환상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면서 현재 추진 예정인 천연물 소재 육성 정책을 즉각 재고 및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Comments


(주)투에이취에프

제호 : 메디컬포커스

발행인 : 유승모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22길 12, 2층 (삼성동, 부흥빌딩)

전화 : 02-701-9800

등록번호 : 서울 아01261

등록일 : 2010년 6월 3일

편집인 : 김경진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성철

발행일 : 2014년 4월 10일

Copyright ⓒ 2021 메디컬포커스

​(주)투에이취에프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 복사 · 배포 등을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