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보건의료 최우선 과제는 “의료비 부담 줄이기”

  • 작성자 사진: 메디컬포커스
    메디컬포커스
  • 2016년 4월 8일
  • 1분 분량

의료정책연구소, 정당별 총선공약 비교 결과 발표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 의료정책연구소(소장 최재욱)는 4⋅13 총선을 맞아 정당별 보건의료 공약을 비교한 자료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국민들에게 정부와 정치권이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하는 보건의료정책이 무엇인지 물어본 결과,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 줄이기’라는 의견이 25%로 가장 많았다.


‘건강보험료 부담을 공평하게 하는 부과기준 마련’은 20%로 그 뒤를 이었다. ‘보건소, 공공병원 등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강화’정책은 16%, ‘경제 활성화를 위한 의료산업 육성’정책은 13%를 차지했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 줄이기’라는 의견은 20대 30%, 30대 26%로 높았고, ‘건강보험료 부담을 공평하게 하는 부과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은 40대 26%, 50대 24%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보건소,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강화’라는 응답은 30대에서 25%가 응답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의료산업육성’이란 의견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응답률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정부가 보건의료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에 포함해 서비스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는 국민의 절반 가까운 48%가 ‘보건의료가 영리를 우선시하게 되므로’ 반대한다는 입장이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므로’찬성한다는 의견 38%보다 10%p 앞섰다.


50세 이하 연령층에서는 보건의료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에 포함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했으나, 50대에서는 찬성이 45%, 반대가 43%로 팽팽히 나뉜 반면 60세 이상 응답자는 절반 가까운 48%가 찬성한다고 답해 연령별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전화면접 방식을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의료정책연구소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보건의료계의 주요현안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알아보는 정례조사를 실시해 선진의료문화 정착에 필요한 정책을 도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mments


(주)투에이취에프

제호 : 메디컬포커스

발행인 : 유승모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22길 12, 2층 (삼성동, 부흥빌딩)

전화 : 02-701-9800

등록번호 : 서울 아01261

등록일 : 2010년 6월 3일

편집인 : 김경진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성철

발행일 : 2014년 4월 10일

Copyright ⓒ 2021 메디컬포커스

​(주)투에이취에프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 복사 · 배포 등을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