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메디컬포커스

복지부, 2014년 지역건강통계 결과 발표

건강행태 실천을 하는 사람은 3명중 1명꼴....건강관리 인식 부재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254개 시군구 보건소와 함께 시·군·구별 평균 900명의 표본을 추출해 22만여명을 대상으로 매년 조사하는 지역단위 건강조사이다.

성인의 주요 건강행태 중 흡연율은 감소, 고위험음주율은 정체, 걷기 실천율은 감소, 비만 율은 증가 추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현재흡연율은 2008년 49.2%에서 2014년 45.3%으로 감소했고, 고위험음주율은 2008년 18.4%에서 2014년 18.7%를 보여 큰 변동이 없다.


걷기 실천율로 대표되는 신체활동 지표의 경우 2008년 50.6%, 2012년 40.8%, 2013년 38.2%, 2014년 37.5% 확실한 감소세를 보이고, 비만율은 2008년 21.6%, 2012년 24.1%, 2013년 24.5%, 2014년 25.3%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년간의 지역의 주요 건강행태는 지역적 격차가 뚜렷함을 보였는데 남자 현재흡연율은 14개 시·도에서 감소하였고, 2개 시·도 증가했는데 특히 울산이 2008년 51.9%에서 2014년 42.6%으로 감소폭이 가장 컸다.


고위험음주율은 8개 시·도에서 감소했지만, 7개 시·도 증가했는데, 특히 강원이 2008년 24.1%에서 2014년 21.1%으로 가장 높은 감소폭을 나타냈다.


걷기 실천율은 3개 시·도에서 증가했지만, 13개 시·도 감소해 운동부족현상을 나타냈는데 그중 특히 대전이 2008년 43.5%에서 2014년 48.4%으로 가장 높게 증가했다.

36개월 이상된 금연조례 시행 지역이 미시행 지역보다 흡연율 감소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조례 시행 지역과 미시행 지역을 비교한 결과 금연조례 지역의 흡연율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 현재흡연율이 8%p이상 크게 하락한 지역은 경남 통영시, 경기 남양 주시, 서울 강동구 3곳이었다.

또한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음주 및 신체활동 실천율이 전반적으로 낮은 상태였고, 스 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 저위험음주, 걷기 3가지 모두를 실천하는 국민은 3명중 1명에 불과하고, 특히 30∼40 대 연령층의 건강행태 실천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39.2%, 대전 34.5%, 인천 33.6%로 다른 시·도보다 건강생활 실천율이 높 았다.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자의 건강행태는 흡연, 음주 등의 건강행태가 비유병자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경향을 보였고, 여전히 만성질환자 3명 중 1명이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맞춤형 지역보건사업을 기 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복지부 관계자는 "지역 실정에 맞는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활성화, 지역보건의료계획 수 립 등에 필수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신체활동 강화·금연조례 확대 등 건강증진정책을 보다 활발히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