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수련제도 '바뀌어야 한다'는데 전의료계 공감대 형성
대한전공의협회(이하 대전협)가 전공의 특별법 발의 후에도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의지를 더욱 불태웠다.
대전협 송명제 회장은 '졸업 후 교육 심포지엄'에서 전공의 교육수련 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를 듣고 문제점을 재확인했다.
1부에서는 충남의대 이선우 교수가 “대부분의 학회에서 불완전한 형태의 역량중심 성과바탕 수련이 이뤄지고 있었다”면서 “특히 실제 환경에서의 평가는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또한 “공통역량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실천의지는 높았으나 구체적인 수련과정은 부족했다”고 평가하고 “교육수련병원에 대한 지도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이선우 교수는 “의료선진국에서 전공의 교육수련은 역량중심·성과바탕으로 의대-전공의-평생교육이 하나의 맥락에서 만들어지고 전공의의 역량을 주기적인 형성평가와 총합평가들로 평가하며, 전공의·수련병원·지도전문의·전문학회에 대한 명확한 수련기준과 평가가 주기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한국적 정서와 실태에 맞는 공통역량 수련, 역량중심-성과바탕 교육 수련의 도입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나라 전공의 수련도 도제식 의국 수련에서 개방되고 체계적인 수련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공통역량의 집중적 교육을 위한 ‘의학교육연수원(가칭)의 도입으로 적절한 전공의 교육수련을 위하여 수련병원에 대한 전문학회의 지도와 감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면서 “수련 프로그램·지도전문의·수련병원 및 전문학회 등에 대한 기준과 자격을 역량중심-성과 바탕에 맞게 바꾸고 주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2부에서는 박중신 대한의학회 수련교육이사와 송명제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의 지정토론이 이어졌다.
조영대 사무총장·정책이사는 “현재 전공교육 및 공통역량 교육에 대한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공의 수련 실태를 파악하고 영국 및 미국 등 교육수련 선전국의의 사례를 검토하여 앞으로의 나아갈 흐름을 제시한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앞으로 한국적 실태에 맞는 역량중심-성과바탕 교육 수련의 도입이 필요하고 전공의 권익보호, 인권문제, 수련환경에 대한 평가와 제도가 재정립되어야 함에 전공의, 지도전문의, 전문 학회 등 다수의 참가자들이 공감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전공의 수련에 관련된 모든 주체가 특정 집단의 이익에 휘둘리기 보다는 수련환경평가, 교육과정, 전문의 고시 전반에 이르기까지 ‘교육’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문제의식을 공유해야만 이를 개선할 수 있다”고 하면서 현재 ‘진료’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는 각 수련병원의 사정상 이를 갖추기 쉽지 않기 때문에 사회와 국가의 관심과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궁극적인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전공의 처우 및 수련 시간 등 양적 환경의 개선이 필수적이고 그 외에도 교육적인 측면을 담당하는 지도전문의와 각 학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대전협 송명제 회장은 “최근 대전협에서 처우개선에 대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사실 그에 못지않게 수련의 질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전공의 교육이 생긴지 58년이 지났지만 표준화 된 시스템이 정착되지 않아 각 과별 수련의 질과 만족도 차이가 너무 크고, 특히 병원별 과별 수련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보니 1년차를 마치고 개인 사정으로 병원을 나오게 되면 추후 타 병원 2년차로 지원하려 할 때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또한 “전공의들에게만 치중되어 있는 평가시스템을 지도전문의들에게도 확대해 교육자 역량강화에 힘써야 한다”면서 “지도전문의의 역량에 따라서 전공의 수련의 질이 크게 달라진다고 생각하고, 이미 일반 대학들에서는 강의평가가 이루어져 그 피드백의 효과가 크다고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전공의들이 미국이나 영국처럼 일일이 평가받고 관리되는 것을 과연 좋아하겠느냐는 질문에 송 회장은 “미국이나 영국처럼 수련시간의 제한과 자기 역량을 개발할 기회가 충분히 주어진다면 얼마든지 평가받을 수 있다”고 답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