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전과 비교해서는 늘었지만 작년보다는 감소
국립암센터는 2015년 우리나라 국민의 ‘암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이 65.8% 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성인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 암검진 수검행태 조사’ 결과로 조사가 시작된 2004년 대비 27% 증가했지만, 2014년에 비해서는 다소 감소한 수치다.
‘암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은 국가암검진 프로그램에서 권고하는 검진주기에 따라 5대암(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검진을 얼마나 잘 받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로 국가와 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국가암검진 뿐만 아니라 개인암검진 수검률도 포함한다.
우선 암종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은 위암 74.8%, 자궁경부암은 65.6%, 유방암 61.2%, 대장암은 59.5%로 유방암은 미국 72.6%, 영국 72.1%, 일본 14.7%, 우리나라 61.2%이고, 자궁경부암은 미국 78.5%, 영국 78.4%, 일본 19.4%, 우리나라 65.6%로 우리나라가 미국, 영국에 비해서는 더 낮고, 일본에 비해서는 높은 수검률을 보였다.
대장암은 분변잠혈검사만을 기준으로 미국 7.9%, 일본 16.1%, 우리나라 30.6%로 우리나라가 더 높은 수검률을 보였다.
국립암센터는 "암검진 권고안을 이행한 수검자 중에서 국가암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4년에는 45.7%로 절반에도 못 미쳤으나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올해 84.3%의 높은 분율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또한 국가암검진 수검 분율의 지속적인 증가는 국가암검진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 국가암검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올해 9월 개정·발표된 암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연령이 20세 이상의 여성으로 확대되어 이번 조사에서도 20대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검진 수검률 조사를 추가했다.
그 결과, 2015년도에 20대가 최근 2년 이내 자궁경부암검진을 받은 경우가 15.5%로, 이는 30대(52.8%), 40대(71.3%)의 자궁경부암검진 수검률과 비교했을 때 20대 수검률이 매우 낮았다.
한편, 2015년 수검자들이 암검진의 주된 동기로 답한 것은 ‘공단 혹은 보건소의 검진 통보를 받고’라는 응답으로 2005년 14.7%에서 2015년 63.9%로 49.2% 큰 폭으로 상승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보건소와 건강보험공단에서 보내는 암검진 통보서가 국민들이 주기적으로 암검진을 받도록 하는 데 가장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립암센터는 2015년 현재 암검진 권고안 미이행 이유(최근 2년 이내에 5대 암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를 ‘매우 그렇다’는 10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0점으로 조사한 결과, ‘건강하기 때문에’가 6.9점으로 가장 높았고, ‘시간이 없어서’는 5.5점, ‘검사과정이 힘들고 두려워서’는 5점 순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암검진 장기 미수검의 가장 큰 이유는 ‘건강하기 때문에(42.2%)’였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23.4%)’와 ‘검사과정이 힘들어서(16.1%)’, ‘암 발견의 두려움(7.6%)’ 순이라고 전했다.
국립암센터는 2004년~2015년 암검진 장기 미수검 이유로 ‘건강하기 때문에’가 2004년 71.2%, 2015년에는 42.2%로 29% 감소했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라는 응답은 2004년 12.9%, 2015년에는 6.3%로 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