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어린이 약시, 치료시기 놓치면 평생간다

작성자 사진: 메디컬포커스메디컬포커스

지난 5년간 4세 이하 약시 진료인원 증가율 14.3%


최근 어린이 사이에서 약시 발생이 늘어감에 따라 적절한 치료와 그 시기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이하 건보공단)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약시(H53.0)’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09년 20,220명에서 2013년 21,771명으로 증가했다.

2009~2013년 약시로 인한 진료인원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4세 이하로 인구 100만명당 연평균 14.3%씩 증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5~9세에서 연평균 5.7%씩 증가했다.

연령별로 5~9세가 5,089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10대가 885명, 4세 이하가 821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3년 인구 기준 100만명당 436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446명, 남성이 42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약시가 4세 이하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 이유에 대하여 김혜영 교수는 “조기진단의 영향으로, 요즘 매스컴에서 소아의 안과검진이 중요함을 자주 다루고 있고, 특히 영유아검진에서 시력검사를 하여 나쁜 경우 조기에 안과 검진을 받도록 하기 때문이다” 라고 말했다.


‘약시’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년 10억 8,560만원(급여비, 6억 5375만원)에서 2013년 14억 7,985만원(급여비, 8억1,639만원)으로 증가했다.

건보공단 일산병원 김혜영 교수는 약시에 대해 “각막, 수정체 등의 매체나 망막, 시신경 등은 정상이나 시력이 나쁘고 안경으로 교정한 시력이 0.8이하이거나 교정시력이 좋은 눈에 비해 두 줄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약시라고 진단한다” 라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약시는 시력발달이 완성된 이후에는 약시를 더 이상 치료할 수 없어 시력저하는 평생동안 계속되고, 특히 한눈 약시를 가진 소아는 반대편 좋은 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무리가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며, “이러한 이유로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만 3~4세에는 안과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댓글 0개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