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메르스로 국민 건강권 훼손되고 보건산업 전반에 큰 타격"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는 지난 5월 20일 첫 메르스 확진자 이후 40일이 되가는 시점에 의료인 및 의료기관의 상당한 피해가 있다고 설명하면서 정부의 조속한 의료계 복구 지원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의협은 메르스 피해로 국민의 건강권이 손상되는 것은 물론 의료인프라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어 보건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이와 같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의료인 및 의료기관의 피해를 보상하고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감염병 관리를 체계화하는 법안 마련 등을 위해 적극 논의하는 것이 적절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피해 보상 방안을 마련해 조속한 시행을 위해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예산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에서도 재정 확보를 통해 조기에 예산 집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을 요구했다. 의협은 "이러한 피해 보상이 지연될 경우 상당수 의료기관이 폐업으로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최전선이 무너지고 사태 진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메르스가 장기화될 수 있는 도화선으로 작용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메르스로 국가 비상사태인 지금 시급한 것은 보건의료체계를 정상화이고, 이를 위해 핵심주체인 의료인 및 의료기관이 피해가 회복되어 제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의료환경을 조성해 메르스를 조금이라도 조기에 종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는 초동 대응이 미흡해 지금과 같은 국가적 위기상황을 초래한 것으로 가래로 막을 것을 호미로 못 막는 상황이 되고 말았지만, 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의료인프라인 의료인 및 의료기관의 피해 복구를 위해 국회 및 정부가 합심해 조속한 결실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라고 빠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의협은 마지막으로 "현재는 국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메르스 종식을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할 중대한 시점이고,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의료현장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의료인 및 의료기관의 피해에 대해 국회 및 정부가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보상이 시행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