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최근 10여년간 아동 구강건강 수준 정체, 관리 행태 개선 필요

작성자 사진: 메디컬포커스메디컬포커스
최근 10여년간 아동 구강건강 수준 정체, 관리 행태 개선 필요 만 12세 아동 절반 이상은 여전히 치아우식(충치)을 경험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 발표

질병관리청은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과 관리행태 파악을 위해 실시한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만 12세 아동 중 절반 이상은 여전히 치아우식(충치)를 경험한다고 밝혀졌다.


최근 10년간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우식(충치) 유병자율은 감소추세이나 우식 경험자율과 우식경험지수는 큰 변화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2021-2022년 조사결과 만5세 아동의 유치우식 경험자율(현재 충치를 가지고 있거나 치료한 경험이 있음)은 66.4%로 2018년 대비 2.1%p줄었고, 유치우식 유병자율은 30.2%로 3.7%p 감소 형태를 보였다.

반면에 우식경험유치지수(1인 평균 우식경험 치아 수)는 3.41개로 차이가 없었다.


만12세 영구치우식 경험자율은 58.4%로 2018년 대비 2.0%p 증가했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94개로 0.1개 증가하였고, 영구치우식 유병자율(6.9%)은 차이가 없었다.


영구치우식 유병자율은 경제상태(상,중,하)와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경제상태 '하'그룹이 12.4%로 '상' 그룹 5.6%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고, 지역별로 시지역 6.7%에 비해 군지역이 10.1%로 높은 형태를 보였다.


또한, 최근 10년간 만12세 아동의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 영구치보유자율은 2009년 건강보험 치면열구전색 급여화 및 2017년 본인부담금 인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2022년 조사결과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66.1%로 2018년 대비 6.1%p증가했으며, 치면열구전색 영구치 수는 2.36개로 2018년과 차이가 없었다.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경제상태 '하' 그룹이 61.4%로 '상' 그룹 67.8%에 비해 낮았고,

지역별로는 시지역 66.5% 비해 군지역 60.7%로 낮았다.


최근 10년간 만12세 아동의 치과진료 수진율은 증가,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진료를 받지 못한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감소 경향이었다.


2021-2022년 조사결과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은 61.0%로 2018년 대비 10%p 감소하였고,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17.7%로 2018년 대비 2.7%p 증가하였다.


또한,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을 보면 경제상태 '하' 그룹이 52.4%, '상' 그룹이 65.2%로 '하' 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약 10% 정도 낮게 조사 되었으나,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하' 그룹 29.3%, '상' 그룹 15.3%로 약 2배 정도 높았다.


지역별로는 군지역이 54.5%, 시지역은 61.5%로 조사됐다.


구강관리 행태는 최근 10년간 만12세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증가, 우식성 간식섭취율은 2012년 이후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1-2022년 조사결과 만12세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15.2%로 2018년 대비 18.1%p 감소하였으며, 우식성 간식 섭취율은 54.9%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16.7%에 비해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이(상 16.7%, 하 13.7%)은 3%p 정도 낮았은 13.7%로 조사 됐으며, 우식성 간식 섭취율은 '하' 그룹이 59.4%, '상' 그룹 54.0%로 5.4%p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유행에서도 우식 경험 및 유병, 우식경험지수 등 구강건강 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과진료 수진, 칫솔질 실천 등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악화되었다"며,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치아 우식 등 구강건강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나, 향후 아동의 구강건강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구강건강 수준 변화와 관련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평생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동 및 부모님 대상으로 우식(충치) 발생 예방을 위한 구강건강관리행태(주기적 검진, 올바른 구강관리 등) 및 식습관(우식성 간식 및 음료 섭취 관리 등) 개선 등 맞춤형 교육·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책임자인 마득상 교수(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회장)는 “2010년 이후 우식경험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경제 수준· 지역간 격차 등 건강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영유아 시기부터 치아우식의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