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스코 공기청정기 3UP 출시, 바이러스·세균·곰팡이 증식 억제

작성자 사진: 한영찬 의학전문기자한영찬 의학전문기자
헤파 필터에서 미생물 증식 억제 펫 필터, 펫 모드로 빠른 냄새 제거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공기 청정
세스코는 헤파필터에 바이러스·세균·곰팡이 등 3가지 증식 억제 기능을 더한 ‘IoT 공기청정기 3UP’을 출시했다

종합환경위생기업 세스코(대표이사 전찬혁)는 초미세먼지를 거르는 필터에 바이러스·세균·곰팡이 등 3가지 증식 억제 기능을 더한 ‘IoT 공기청정기 3UP’을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공기청정기는 기존 ‘세스코 IoT 공기청정기’ 제품의 특장점을 유지하면서, 헤파(HEPA·고성능 공기 미립자) 필터에 항균성이 우수한 구리(Cu) 성분을 추가한 게 특징이다.

세스코는 업그레이드한 구리 헤파 필터에서 필터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 99.99%, 세균 증식 억제 99.9% 되는 것이 확인됐다며, 곰팡이도 성장이 관찰되지 않아 곰팡이 증식 억제 0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 빠른 악취 제거를 위해 ‘펫 모드’와 ‘펫 필터’를 추가했다. 펫 모드는 일반 모드 대비 1.45배 빠른 회전으로, 공기를 순환시킨다. 펫 필터는 암모니아 냄새 입자를 집중적으로 제거한다.


세스코는 IoT 공기청정기 3UP에 펫 필터를 추가해 정격 풍량에서 30분간 시험한 결과, 악취 유발 물질인 암모니아를 98.8%까지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번 출시로 세스코 IoT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편의에 맞춰 시기마다 바꿀 수 있는 ‘맞춤형 필터’ 종류가 펫 필터를 포함해 4종으로 늘었다.


예컨대 이사·리모델링으로 새집 증후군이 걱정되면 ‘유해가스 필터’를 쓰다가, 알레르기 항원을 줄일 때는 ‘알레르겐 필터’, 요리로 발생한 미세 기름 입자를 관리할 때는 ‘오일미스트 필터’, 반려동물을 키운다면 ‘펫 필터’ 등으로 맞춤형 공기청정기로 바꿀 수 있다.

초미세먼지 센서, 냄새 감지 센서, 집중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CO2)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도 갖췄다. 1급 발암 물질인 라돈 방사능 측정 센서를 탑재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세스코 IoT 공기청정기는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통해 모바일 기기로 언제 어디서든 실내 공기질을 확인·제어할 수 있다. 실내 공기질 유해 요소 변화에 따라 공기청정기 운전 단계가 스마트하게 자동 전환되는 것도 장점이다.


세스코 소개


세스코는 글로벌 No.1 종합환경위생기업이다. 40년 역사와 첨단 과학 기술 연구 개발(R&D)를 바탕으로 해충 방제, 식품 안전, 공기질 관리, 수질관리, 바이러스케어 등 위생 관련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Комментарии


(주)투에이취에프

제호 : 메디컬포커스

발행인 : 유승모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22길 12, 2층 (삼성동, 부흥빌딩)

전화 : 02-701-9800

등록번호 : 서울 아01261

등록일 : 2010년 6월 3일

편집인 : 김경진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성철

발행일 : 2014년 4월 10일

Copyright ⓒ 2021 메디컬포커스

​(주)투에이취에프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 복사 · 배포 등을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