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65세 이상 남성, 만성 신부전 많이 나타나

작성자 사진: 메디컬포커스메디컬포커스

만성 신부전은 고혈압, 당뇨가 있을시 더욱 주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만성 신부전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중 남성은 2009년 5만 3,619명에서 2013년 9만 2,080명으로 연평균 14.5% 증가했고, 여성은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2.3% 증가해 남녀 상관없이 진료인원이 증가했다.

남성 진료인원은 여성에 비해 80세 이상에서는 2.57배, 70대는 2배, 60대에는 1.86배 많아 남성의 만성 신부전증 진료인원이 여성에 비해 전체적으로 증가했다.

전체 진료인원은 2009년 9만 596명에서, 2013년 15만 850명으로 연평균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이 1,7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70대 1,520명, 60대 856명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 진료인원은 여성에 비해 80세 이상에서는 2.57배, 70대는 2배, 60대에는 1.86배 많아 남성의 만성 신부전증 진료인원이 여성에 비해 전체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진료인원은 65세 미만의 8.81배이고, 남성은 10.12배, 여성은 8.07배 많았고, 증가율은 80세 이상을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2009부터 2013년 ‘만성 신부전증’으로 인한 진료인원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요양기관은 요양병원 19.1%이고, 다음으로 종합병원 14.7%, 상급종합병원 12.4% 순으로 나타났다.

2009부터 2013년까지 진료비는 요양병원이 31.3%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약국이 20.5%, 요양병원을 제외한 병원 12.9% 순이었다.

이 같은 분석에 대해 일산병원 신장내과 강이화 교수는 "전체 인구의 고령화 및 이로 인한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신부전증 유발 질환자의 빈도가 급속도로 상승하는 것이 만성 신부전증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신장 질환의 조기 발견을 중시해, 국가 검진으로 간단한 소변검사 및 혈액검사를 통해 환자들의 조기진단율이 높아진 것도 환자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강 교수는 "만성 신부전증의 예방을 위해 고혈압, 당뇨 등의 기저 질활을 지닌 환자에서는 치료 및 관리가 필수이고, 지나친 염분 섭취를 피해야 한다"라고 말하고, "전해질 불균형, 빈혈, 체내 수분 조절 등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