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메디컬포커스

차세대 신약 R&D 지원..기술이전 성과 거둬

3년간 해외 기술수출 총 22건, 기술료 총 6조 5천억원 규모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의 신약연구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개발된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이 해외에서도 기술력과 시장가치를 인정받아 대규모 기술이전 실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복지부는 신약개발 모든단계에 걸쳐 부처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우수한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기 위해 3개부처가 공동으로 투자한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2012년 7월부터 3년여 간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임상 2상 연구를 수행한 한미약품(주)의 ‘차세대 당뇨병 치료제 HM11260C 글로벌 임상 및 제품화 연구’ 과제가 사노피로 기술이전 되었다.

기술이전에 따라 한미약품은 사노피로부터 초기 계약금 약 5000억 원임상개발, 허가,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약 4조 5000억 원을 받게 되어,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동안 복지부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해 신약연구개발사업을 적극 지원해왔고, 이를 통해 개발된 신약 및 신약후보물질로써의 해외 기술수출 사례는 사업단 성과를 포함해 총 22건에 이른다.


복지부는 “이에 따른 기술료 수입은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포함해 최대 6조 5천억원 규모에 이르는 등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기술이전 성과와 신약개발 성공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약산업은 기술우위에 따른 독점력이 강하고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사업이지만 신약개발에 평균 15년의 긴 개발기간이 소요되고 실패율이 높은데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지원사업의 기술이전 성과는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만약 기술사업화 성과가 확대되면 연구개발 경험 축적과 이에 따른 국내신약개발 역량 강화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기술료 수입을 통한 신약개발 재투자로의 지속적 선순환구조가 형성되어 연구개발 성과가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신약개발 R&D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기존 신약개발 사업의 영세성, 연구단계별 연계부족 및 기술개발 병목 발생의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범부처신약개발사업과 같이 관계부처 간 장벽을 해소하고 정보교류 및 성과 연계를 확대하여, 신약개발 R&D 투자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