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SGU 의과대학, 세계 당뇨병의 날 맞아 한국서 조기 발견 강조
세인트 조지 대학교(SGU) 의과대학은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한국에서 당뇨병 조기 진단과 예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WHO는 전 세계 6억3000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밝혔으며, IDF는 2024년 한국 성인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SGU는 제2형 당뇨병 위험 요인으로 가공식품 중심의 식습관, 운동 부족, 가족력, 스트레스, 환경적 요인을 제시하고 갈증·피로·시야 흐림 등 고혈당 신호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기 검진의 필요성과 함께 SGU의 글로벌 의료교육이 공중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효상
11월 14일


국립재활원,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R&D 성과 공유
국립재활원은 10월 27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5 돌봄로봇네트워크포럼’을 개최하고,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현황과 성과를 공유했다.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돌봄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핵심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럼은 장애인·노인 실증, 유연착용형 로봇, 인공지능(AI) 챗봇 등 다양한 과제를 논의했으며, 국립재활원은 2027년까지 돌봄로봇 실증 플랫폼과 인허가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10월 27일


한국, WHO 서태평양 지역 보건 현안 논의 참여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피지에서 열리는 제76차 WHO 서태평양 지역위원회(WPRO)에 정부대표단을 파견했다. 이번 회의에는 서태평양 38개 회원국이 참여해 2026~2027년 예산안, 구강건강, 국제보건규칙(IHR) 이행, 고혈압 관리 등 주요 보건 현안을 논의한다. 우리 대표단은 김혜진 기획조정실장을 수석대표로 하여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등 한국의 기여 사례를 소개하고, 기후변화 대응 감시체계, 인공지능 기반 건강정보 플랫폼, 만성질환 관리사업 등 다양한 성과를 공유한다. 또한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5개년 전략 발표회에도 참여해 역내 환경보건 협력 강화를 모색할 계획이다.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10월 21일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