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아프라스 의장국에 한국 재선출…식품규제 리더십 강화

  • 작성자 사진: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 3일 전
  • 1분 분량
식약처, 아시아·태평양 식품규제기관 협의체 의장국 재선출
아프라스(APFRAS) 2025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아시아·태평양 식품규제기관장 회의 '아프라스(APFRAS) 2025'에서 차기 의장국으로 재선출되며, 글로벌 식품 규제조화와 안전관리 선도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번 회의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제주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13개국과 3개 국제기구가 참석해 '아프라스 제주 2025 선언문'을 채택했다.


선언문에는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 기술 공유, 규제 정보 상시 교환, 전자위생증명서 활용 확대 등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을 위한 협력 방안이 담겼다.


식약처는 AI 기반 식품안전관리와 QR코드 표시, 스마트 HACCP 등 첨단기술을 소개하며, 국내 수출기업들의 대표 제품을 행사장 내 부스를 통해 각국 규제당국자에게 홍보했다.


특히 한국의 디지털 위생인증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규제 신뢰도 제고와 수출 확대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중, 한태국 간 양자회의도 진행되었다.


중국 측과는 이중제형제품 수입허가 문제를, 태국 측과는 한국 시험검사기관 성적서 인정에 대해 논의하며, 양국 간 실질적인 규제 장벽 완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말레이시아 규제당국자를 초청해 국내 건강기능식품 기업들과 규제 대응 비즈니스 미팅을 마련, 수출 확대를 위한 민관 소통의 장도 마련됐다.


CES 식품안전 규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것도 주목할 만한 성과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쉽고 빠르게 규제정보를 제공하여 수출기업들의 비관세장벽 대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아프라스를 중심으로 아태 지역 식품안전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여 규제과학 기반의 수출지원에 앞장서고, K-푸드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전략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Comments


(주)투에이취에프

제호 : 메디컬포커스

발행인 : 유승모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22길 12, 2층 (삼성동, 부흥빌딩)

전화 : 02-701-9800

등록번호 : 서울 아01261

등록일 : 2010년 6월 3일

편집인 : 김경진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성철

발행일 : 2014년 4월 10일

Copyright ⓒ 2021 메디컬포커스

​(주)투에이취에프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 복사 · 배포 등을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