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해외직구 의료기기 불법광고 1천 건 적발

  • 작성자 사진: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 7월 23일
  • 1분 분량
민관합동 감시단, 소비자 피해 예방에 총력
ree

해외직구 의료기기의 무분별한 유통을 막기 위한 민·관의 감시체계가 본격 가동되며, 온라인 불법광고 게시물 1,009건이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녹색소비자연대전국연합회,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등 관련 기관과 함께 의료기기 민·관 합동 감시단을 운영하며, 3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3개월간 해외직구 플랫폼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단속에서 적발된 1,009건 중 856건이 해외직구 의료기기 광고였으며, 이 중 대부분은 일반 소비자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품이었다.


주요 품목으로는 혈압계(163건), 광선조사 제모기(95건), 점 제거용 레이저 펜 등 전기 및 기타 수술장치(68건), 소프트콘택트렌즈(53건), 체온계(53건) 등이 포함됐다.


병원 등 전문가용 제품도 예외는 아니었다.


환자감시장치(25건), 청진기(18건), 치과용 가시광선 중합기(10건) 등도 불법 광고가 다수 확인되었다.


식약처는 적발된 게시물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을 요청하고, 관할 지자체에 현장 점검을 의뢰했다.


또한 관세청과의 정보 공유를 통해 해당 제품이 국내에 반입되지 않도록 통관 단계에서부터 차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식약처는 "해외직구 제품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아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피해 발생 시 법적 보호도 어렵다"며 정식 수입 제품 구매를 권고했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은 의료기기를 온라인으로 구매하기 전, 반드시 의료기기안심책방에서 허가·인증 여부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 18일 상반기 민·관 감시단 운영 실적을 관련 단체들과 공유하고, 하반기에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남희 의료기기안전국장은 "급변하는 유통 환경 속에서도 국민이 안심하고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단체 및 산업계와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1개


pig dan
pig dan
9월 20일

정신 건강 증상들이 얼마나 미묘하고 복합적인지, 그리고 자가 진단이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한 통찰력 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특히,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내면의 어려움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에 깊이 공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초기 신호를 놓치기 쉽죠. 이러한 미묘한 증상들 중에서도 강박적인 사고나 행동 패턴은 스스로 인지하기 더욱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혹시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이 강박적인 성향을 띠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이와 관련하여, 자신의 강박적인 성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는 강박증 자가 진단 테스트가 좋은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좋아요

(주)투에이취에프

제호 : 메디컬포커스

발행인 : 유승모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22길 12, 2층 (삼성동, 부흥빌딩)

전화 : 02-701-9800

등록번호 : 서울 아01261

등록일 : 2010년 6월 3일

편집인 : 김경진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성철

발행일 : 2014년 4월 10일

Copyright ⓒ 2021 메디컬포커스

​(주)투에이취에프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 복사 · 배포 등을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