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보건복지부, '장기·조직 기증 및 이식' 첫 국가종합계획 확정
보건복지부가 「제1차 장기·조직 기증 및 이식 종합계획(2026~2030)」을 발표하며, 주민센터·운전면허증 발급처·건보지사 등으로 기증희망등록 창구를 확대한다. 연명의료 중단 후 장기기증(DCD) 법제화도 추진해 뇌사자 기증에 편중된 구조를 개선하고, 기증자와 유가족에 대한 사회적 예우도 강화한다.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 및 병원 조직은행 지원, 장기이식 관련 데이터 기반 연구체계 확립을 통해 장기·조직 수급 불균형 해소와 국민 보건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광우 의학전문기자
10월 16일


식약처, 무니코틴 액상 흡입제품 광고 171건 차단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무니코틴 표방 액상 흡입제품’이 의약외품 금연보조제로 오인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지난 9월 집중 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에서 온라인 광고 171건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차단 요청했으며, 전자담배 판매점 188곳과 약국 116곳 등 총 304개소를 현장 점검해 16개 전자담배 판매점을 계도했다. 무니코틴 제품은 니코틴 미함유를 강조하지만, 합성·유사니코틴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식약처는 소비자들에게 의약외품 구매 시 반드시 ‘의약품안전나라’에서 정식 허가 여부를 확인할 것을 권고하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허위·과대 광고를 적극 차단하고 의약외품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메디컬포커스
10월 3일


의협 한특위 “한의주치의 시범사업 즉각 중단해야”
대한의사협회 한방대책특별위원회가 정부의 ‘한의주치의 시범사업’ 추진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의협은 주치의 제도는 만성질환 관리와 예방접종 등 의사만이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한의사에게 주치의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국민 혼란과 제도 본질 훼손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첩약 건강보험, 한방 난임치료 등 과거 한방 공공의료 사업이 근거 부족과 효과 미흡으로 실패한 사례를 언급하며, 국민 건강보험 재정 낭비와 국민 건강 위협을 경고했다. 정부가 과학적 검증 없이 또다시 정책을 추진한다면 필수의료 강화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유성철 의학전문기자
9월 25일
bottom of page

